1. 들어가며
○ 서울시에 따르면 ‘안심소득 2단계 시범사업 참여가구’ 모집 접수를 완료하고, 1차로 15,00015,000 가구를 선정하였으며, 소정의 심사를 거친 최종 선정 가구는 일정 금액을 매월 2년간 지원받게 됩니다.
○ 오늘은 이러한 선정 내용 및 지원 금액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2. 선정 내용 및 지원 금액
○ 서울시는 지원가구를 가구 규모(1인/2인/3인/4인)와 가구주 연령(39세 이하/40~64세/65세 이상)을 기준으로 12개 구간으로 나눠 1차로 15,00015,000 가구를 무작위 선정하였습니다.
○ 선정과정은 복지·통계·법률전문가와 시민 등으로 구성된 모니터링단이 입회한 가운데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되었습니다.
○ 1차 선정가구는 서울시 누리집고시․공고, 서울복지포털(wis.seoul.go.kr), 서울 안심소득 누리집(seoulsafetyincome.seoul.kr)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○ 1차에 선정된 15,00015,000 가구는 오는 20일(월)부터 3월 3일(금)까지 12일 동안 주민등록지 동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4종의 서류를 제출하여야 합니다.
○ 신청은 가구주를 기준으로 하나, 불가피하게 가구원이 신청해야 한다면 필수 서류(신청인 신분증 등)을 지참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
○ 제출서류는 ①안심소득 참여 신청서, ②사회보장급여신청서, ③소득·재산신고서, ④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총 4종입니다.
○ 해당 서류는 안심소득 누리집 ‘공지사항’을 통해 사전에 확인할 수 있으며, 동 주민센터 방문 후 비치된 서식을 활용하여 작성·신청할 수 있습니다.
○ 서울시는 제출된 서류를 기준으로 행복 e음(사회복지통합관리망)을 통해 해당 가구의 소득·재산 기준 충족여부를 확인한 뒤, 4월 중 2차로 4,0004,000 가구를 무작위 선정할 계획입니다.
○ 6월 말, 2차 선정 가구(4,000 가구) 중 기초선조사 완료 가구를 대상으로 1·2차와 같은 무작위 선정방식을 통해 지원집단 1,100 가구를 최종 선정합니다.
○ 최종 선정 가구는 중위소득 85% 기준액과 가구 소득 간 차액의 절반을 매월 2년간 지원받으며 시범사업에 참여하게 됩니다.
○ 최종 선정된 지원집단 1,100 가구는 7월에 첫 급여를 지급받게 되며, 반기별 중간조사, 사업종료 시 사후조사, 종료 1년 후 추적조사 등 4년간 안심소득 효과성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에 참여하게 됩니다.

3. 출처 및 보도자료
○ 본 내용은 서울시 보도자료를 요약한 것이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첨부한 보도자료를 확인하시면 됩니다.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3 경기도] 청년 기본 소득 신청하세요 (0) | 2023.03.05 |
---|---|
서울시, 중장년(40대,50대,60대) 맞춤 직업 교육(취업 과정) 개발 (0) | 2023.02.17 |
[무료 취업 컨설팅] 서울시가 운영하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(광역 일자리 카페) (0) | 2023.02.17 |
[서민 난방비 지원] 에너지 바우처를 통한 겨울 가스 전기 요금 보조 (0) | 2023.01.27 |
[청년 지원] 서울시 거주 청년을 위한 희망두배 청년 통장 (0) | 2023.01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