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서론
- 고용 노동부에 따르면 중장년 재직자에게 경력 설계 대상을 확대하고 비대만 상담 도입 등을 통해 중장년층으로 하여금 미래 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고 합니다.
- 오늘은 이러한 카운슬링 내용과 카운슬링 대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2. 카운슬링 내용
- 「중장년 새 출발 카운슬링」이란 미래 준비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기업 재직자에게 중장기적 관점의 경력 설계 컨설팅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.
- 이는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해 1:1 심층상담 방식으로 경력진단, 재취업 업종 상담, 희망 업종의 현직자 그룹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고 합니다.
- 이번 심사를 통해 ㈜잡모아, ㈜지오 코칭, 등 민간의 역량 있는 상담 기관 7개소를 신규로 추가 선정하여 기존 기관을 포함하여 총 17개 기관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 컨설팅 과정을 제공하게 됐다고 합니다.
- 한편, 상반기 운영과정에서 제기된 참여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원 대상 확대, 자비 부담금 환급 제도 도입, 비대면 상담 도입 등 과정 운영상의 편의를 대폭 확대했다고 합니다.
3. 카운슬링 대상
- 기존에는 지원 대상을 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은 만 45세에서 만 54세까지의 재직자로 제한했으나, 퇴직 직전의 중소기업 재직자와 고용이 불안정한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만 45세 이상 참여가 가능하도록 연령 상한을 폐지했고, 특수형태근로종사자, 프리랜서 등의 참여도 가능하게 했다고 합니다.
- 또한, 상담 과정 참여 시 자비 부담(10%)을 하고 있었으나, 과정을 수료하면 자비 부담금을 환급해주도록 제도를 개선하여 참여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었다고 합니다. 즉, 상담 비용의 10%를 부담하되, 과정 수료(출석률 80% 이상) 시 이를 전액 환급하게 됩니다.
- 지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했던 대면 상담 방식으로 재직자 특성상 퇴근 후 또는 주말만 가능했던 상담이 줌(Zoom), 스카이프(Skype) 등을 활용한 1:1 비대면 실시간 상담도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시간적·공간적 제약으로 참여가 곤란했던 재직자 등이 상담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고 합니다.
- 「중장년 새출발 카운슬링」에 참여를 희망한다면, 직업훈련포털 누리집(www.hrd.go.kr)을 방문하여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과 상담 과정을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.
4. 출처 및 보도 자료
- 본 내용은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을 출처로 하고 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고용노동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반응형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서울 제로배달] 가맹점 2배, 매출 6배 증가 (1) | 2022.09.25 |
---|---|
[2022] 항공레저 페스타 개최(9월24일 부터) (0) | 2022.09.23 |
고용 관련 빅 데이터 오픈 (0) | 2022.09.18 |
2022 대구 K-POP 콘서트 라인업 공개 (0) | 2022.09.18 |
[서울] 365열린어린이집 9개소로 확대 (0) | 2022.09.16 |
댓글